본문 바로가기

공부해도 금방 잊어버린다? 뇌과학 학습력 향상법

wani-universe 2025. 2. 11.

왜 우리는 배운 것을 쉽게 잊어버릴까?

새로운 정보를 배우면 처음에는 기억이 잘 나지만, 시간이 지나면 점점 잊어버리는 경험이 많다. 왜 그럴까?

뇌과학적으로 볼 때, 기억이 쉽게 사라지는 이유는 해마(Hippocampus)와 대뇌 피질(Cerebral Cortex) 간의 정보 저장 과정 때문이다.

단기 기억은 해마에 저장되지만, 시간이 지나면 필요하지 않은 정보는 삭제되고, 중요한 정보만 대뇌 피질에 장기 기억으로 남는다. 따라서 대뇌 피질에 장기기억으로 남는 과정을 모른다면, 공부한 것을 금새 잊어버리기 십상이다. 

 

그러나 적절한 학습 방법을 사용하면 기억을 오래 유지하고,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뇌과학적으로 검증된 반복 학습과 장기 기억 형성 방법을 소개한다.


1. 기억이 형성되는 뇌의 메커니즘

효율적인 학습을 위해서는 뇌가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

뇌 영역 기능 학습과의 관계
해마(Hippocampus) 단기 기억 저장 학습한 내용을 일시적으로 저장
대뇌 피질(Cerebral Cortex) 장기 기억 저장 반복 학습을 통해 정보가 영구 저장됨
소뇌(Cerebellum) 운동 기억 담당 스포츠, 악기 연주 등 신체 학습에 관여

 

결론: 학습한 내용을 장기 기억으로 변환하려면 반복 학습과 적절한 복습 주기가 필요하다.


2. 뇌과학적으로 검증된 5가지 학습법

 1) 분산 학습(Spaced Repetition) – 반복 학습의 핵심

  (1) 과학적 원리

  • 뇌는 한 번에 많은 정보를 저장하지 못하지만,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 학습하면 기억이 강화된다.
  • 연구에 따르면, 24시간 내 첫 복습을 하면 망각률이 50% 감소한다
  • 독일의 심리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n Ebbinghaus) 는 실험을 통해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이 급격히 감소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망각 곡선(Forgetting Curve)" 이라고 한다.
  • 망각 곡선: 왜 배운 것을 쉽게 잊어버릴까?
    시간 경과 기억 유지율(%).
    학습 직후(0시간) 100%
    1일 후 50~60%
    1주 후 20~30%
    1개월 후 10% 이하
    학습 후 24시간 내에 첫 복습을 하지 않으면 기억의 절반이 사라진다.
    그러나 적절한 복습 주기를 설정하면 기억을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실천 방법

  • 첫 번째 복습: 학습 후 24시간 이내 복습
  • 두 번째 복습: 3일 후 복습
  • 세 번째 복습: 1주일 후 복습

단기 암기가 아니라, 장기 기억을 만들려면 주기적으로 복습해야 한다.


 2) 능동적 회상(Active Recall) – 직접 떠올리며 학습하기

  (1) 과학적 원리

  • 노트나 책을 보며 복습하는 것보다, 스스로 기억을 떠올리는 것이 효과적이다.
  • 연구 결과, 단순히 읽기만 한 그룹보다 스스로 떠올린 그룹이 기억 유지율이 40% 더 높았다.

  (2) 실천 방법

  • 책을 덮고 배운 내용을 스스로 설명해보기
  • 플래시카드를 활용해 질문을 만들고 답을 떠올려 보기

"읽는 것"이 아니라 "기억에서 꺼내는 것"이 진짜 학습이다.

공부해도 금방 잊어버린다고? : 뇌과학으로 보는 학습력 향상법


 3) 간격을 둔 반복 테스트 – 시험을 활용한 학습법

  (1) 과학적 원리

  • 시험을 보면 기억이 더 오래 유지된다.
  • 테스트 효과(Test Effect) 라고 불리는 이 원리는, 뇌가 시험을 중요한 정보라고 인식하기 때문이다.

  (2) 실천 방법

  • 스스로 퀴즈를 만들어 자주 테스트해보기
  • 친구와 함께 질문을 주고받으며 복습

공부한 내용을 시험 보듯이 테스트하면 장기 기억 형성에 효과적이다.


 4) 멀티 모달 학습 –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라

  (1) 과학적 원리

  • 뇌는 다양한 감각을 활용할수록 정보 저장력이 증가한다.
  • 예를 들어, 소리(청각), 이미지(시각), 몸으로 하기(운동 감각) 등을 함께 사용하면 기억력이 2배 증가한다.

  (2) 실천 방법

  • 소리: 배운 내용을 소리 내어 읽기
  • 그림: 다이어그램, 마인드맵 활용
  • 움직임: 걷거나 몸을 움직이며 학습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면 기억이 더 오래 지속된다.


 5) 잠을 활용한 학습 – 수면 중 기억 강화하기

  (1) 과학적 원리

  • 뇌는 수면 중 해마에서 대뇌 피질로 정보를 옮긴다.
  • 연구에 따르면, 수면 직전에 학습한 내용은 기억에 오래 남는다.

  (2) 실천 방법

  • 자기 전 30분 동안 학습하기
  • 충분한 수면(7~8시간) 유지

잘 자는 것이 공부하는 것만큼 중요하다!


3. 효율적인 학습을 위한 3단계 전략

단 계 방 법 설 명
1단계 – 정보 입력 읽기, 듣기 기본 개념을 익히는 단계
2단계 – 능동적 학습 테스트, 회상 스스로 떠올려보며 학습
3단계 – 장기 기억화 반복 복습, 수면 활용 장기 기억으로 변환하는 과정

 

이 3단계를 적용하면 학습 효율이 극대화된다.


뇌과학을 활용하면 학습 능력이 향상된다

효율적인 학습법을 사용하면 짧은 시간 내에 더 많은 것을 기억할 수 있다.

 

  • 분산 학습으로 반복 복습하기
  • 능동적 회상으로 직접 떠올리며 학습하기
  • 테스트를 통해 학습 효과 극대화하기
  • 다양한 감각을 활용하여 기억력을 높이기
  • 충분한 수면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뇌과학적으로 검증된 학습법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공부해보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