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의 진실: 무의식 속 또 다른 나

wani-universe 2025. 2. 25.

한 몸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인격

"나는 누구인가?"
이 질문은 철학적이지만, 해리성 정체감 장애(다중 인격 장애, DID·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를 앓는 사람들에게는 실존적인 문제다.

한 사람의 몸에 전혀 다른 성격, 기억, 심지어는 취향과 능력을 가진 다수의 인격이 존재한다는 것은 영화 속 이야기처럼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실제로 존재하는 정신 질환이며, DID 환자의 뇌에서는 일반인과 다른 신경학적 변화가 관찰된다.

그렇다면 다중 인격 장애는 어떻게 발생하는 것일까?
DID 환자의 뇌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이번 글에서는 DID의 정의, 발생 원인, 뇌과학적 변화, 연구 사례, 그리고 사회적 논란까지 깊이 있게 다뤄보려고 한다.


1. 해리성 정체감 장애 (DID)란 무엇인가?

DID는 과거 다중 인격 장애(Multiple Personality Disorder, MPD)라고 불렸으나, 현재는 해리성 정체감 장애(Dissociative Identity Disorder, DID)라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이 장애의 가장 큰 특징은 한 사람이 2개 이상의 독립적인 인격(alters)을 가지고 있으며, 각 인격이 차례로 의식을 통제한다는 점이다.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의 진실: 무의식 속 또 다른 나

 

1) 다중 인격 장애(DID)의 주요 특징

특징 설명
다수의 인격 존재 한 몸에 2개 이상의 인격이 존재하며, 각 인격은 독립적인 정체감을 가짐
기억 상실(해리 현상) 특정 인격이 활동하는 동안, 다른 인격은 그 시간을 기억하지 못함
인격 간 차이 성별, 나이, 언어, 필체, 성격, 심지어 신체 반응도 다를 수 있음
트라우마와 연관 극심한 아동기 학대, 트라우마 등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됨

 

DID 환자는 단순히 "다양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아니라, 각 인격이 완전히 독립적으로 행동하고 사고하는 상태다.

심지어 어떤 인격은 시력이 좋고, 어떤 인격은 안경이 필요할 정도로 신체적인 차이도 보일 수 있다.


2.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의 원인 – 왜 발생하는가?

DID는 단순한 정신적 착란이 아니라, 극단적인 생존 전략으로 해석된다.
즉, 강한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이 자신의 정신을 보호하기 위해 정체성을 분리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라는 것이다.

 

 1) DID 발생의 주요 원인

원인 설명
심각한 아동기 학대 신체적, 정서적, 성적 학대를 경험한 아이가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인격을 분리함
극심한 스트레스 및 트라우마 전쟁, 사고, 폭력 등의 극심한 경험이 원인이 될 수 있음
해리성 방어 기제 현실에서 벗어나기 위해 기억과 정체성을 분리하는 심리적 메커니즘

 

특히 아동기 학대 경험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DID 발병률이 매우 높다.
어린아이가 지속적인 고통에 시달릴 경우, 현실을 피하려는 방어 기제가 작동하면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새로운 인격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3.해리성 정체감 장애(DID) 환자의 뇌에서 일어나는 변화

과거에는 DID가 단순한 심리적 문제라고 여겨졌지만, 현대 뇌과학 연구를 통해 DID 환자의 뇌 구조와 기능이 일반인과 다르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 DID 환자의 뇌과학적 변화

뇌 영역 기능 DID 환자의 특징
해마(Hippocampus) 기억 저장 및 회상 크기가 줄어들어 기억이 단절됨
편도체(Amygdala) 감정 조절, 특히 공포 반응 과도하게 활성화되어 트라우마 반응이 강해짐
전두엽(Prefrontal Cortex) 자기 통제 및 의사결정 특정 인격이 의식을 차지할 때 활동 패턴이 바뀜

 

특히 해마와 편도체의 변화는 DID 환자들이 트라우마에 강하게 반응하며, 기억을 단절하는 이유를 설명해준다.
또한, 특정 인격이 활성화될 때마다 뇌의 활성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즉, DID 환자의 뇌는 인격마다 다른 뇌 활동 패턴을 보이며, 이는 단순한 "연기"가 아니라 실제 신경학적 차이임을

보여준다.


4. 해리성 정체감 장애(DID)에 대한 논란 – 실존하는 장애인가?

DID는 오랫동안 학계에서 논란이 되어왔다.
실제로 존재하는 장애인가, 아니면 심리적 암시와 사회적 영향을 받은 현상인가?

 

 1) DID를 둘러싼 주요 논란

논란 찬성 입장 반대 입장
실제 존재
여부
뇌과학 연구에서 인격별로 다른 뇌 활동이 확인됨 DID 진단 사례가 특정 문화권(서구권)에 집중되어 있음
사회적 영향 트라우마 방어 기제로 인격이 분리됨 심리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암시에 의해 인격을 형성할
가능성이 있음

 

일부 연구에서는 DID가 지나치게 과장되었으며, 치료 과정에서 환자가 "자신이 다중 인격을 가져야 한다"고 믿게 되는 암시 효과가 작용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최근 뇌과학 연구는 DID가 실제로 존재하며, 단순한 심리적 현상이 아니라 신경학적 변화가 동반된 장애임을 강력히 뒷받침하고 있다.


DID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해리성 정체감 장애, 즉 다중 인격 장애(DID)는 단순한 정신 착란이 아니다.
이는 극심한 트라우마 속에서 생존하기 위한 무의식적 방어 기제이며, 실제로 환자의 뇌에서는 독특한 변화가 나타난다.

DID에 대한 사회적 이해가 부족한 만큼, 우리는 이를 단순한 "영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실제 존재하는 정신 장애로 인식하고 치료적 접근을 고민해야 한다.

우리는 하나의 인격을 가지고 살아가지만, 어떤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또 다른 나'를 만들어야만 했다.
과연 인간의 정체성이란 무엇일까? 

댓글